Network

네트워크 계층 개념 정리(OSI 7계층)

hyoooon 2021. 4. 6. 17:06

 

네트워크 계층

 

# OSI 7계층

 

패킷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osi 7계층을 정리해보고 가보자.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7단계로 나눈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부품들의 표준이 된다. 서로 다른 부품들을 가지고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념인 것이다. 예를 들어 A사 자동차의 바퀴가 고장났을 때 B사의 바퀴로 교체해 수리할 수 있는 것처럼, 네트워크의 일부분이 고장이 났을 때 OSI 7계층의 표준을 갖춰서 오류를 고치면 된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하면, app단에서의 데이터가 각 레이어마다 인식할 수 있는 헤더를 붙이며 점점 1계층으로 가는 과정을 Encapsulation 이라 한다. 그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Decapsulation이라 한다. data에 tcp 헤더를 붙여 segment가 되고, segment에 ip 헤더를 붙여 packet이 된다. packet에 mac 헤더를 붙여frames이 된다.

 

 

각 계층별로 살펴보자.

 

7계층 응용 계층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

데이터 단위 : 데이터

 

4계층 전송계층

- 두 컴퓨터의 특정한 프로세스까지의 데이터 통신

-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포트 번호

-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

-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통신 제공. 전체 메세지의 통신을 책임진다고 보면 된다.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각 호스트간 경로에 맞게,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라우팅)

- 데이터 단위  : 패킷

-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논리주소인 ip주소 (ip주소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할 때 사용되는 것!)

- 대표적인 장비 : 라우터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계층에서 받은 정보의 전달을 수행한다. 

- point to point 통신. 대표적인 예로 이더넷이 있다.

- 데이터 단위 : 프레임

-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물리주소인 mac 주소

- 대표적인 장비 : 스위치, 브릿지

 

1계층 물리 계층

- 전기적 신호가 오가는 통로 역할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 랜선 케이블이 하는 역할

- 통신 단위 : 비트

- 장비 :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